기억의 전당


불빛 속에 스며든 시간들

이곳에는 기억들이 산다. 꽤 오래전부터, 아무도 살지 않던 빈터였을 때부터. 바람만 불고 해만 뜨고 지던 그때. 그런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누가 기억할까. 물이 흐르기 시작했고, 그 물이 땅을 적시며 풀을 키우고 나무를 자라게 했다. 자연이 스스로를 그려나가던 시절. 그런 기억들이 여기 차곡차곡 쌓여 있다. 산이 푸르러지고 물이 맑아지던 그 시절의 기억도.

사람들이 들어와 살기 시작했을 때를 기억한다. 집을 짓고 울타리를 치고 텃밭을 일구던 소리들까지. 그렇게 이곳은 사람들의 마음까지 맑게 만들었다. 이 집이 지어졌을 때의 기억은 더욱 또렷하다. 그리 크지도 작지도 않은 평범한 집이었다. 마당이 있고 방이 몇 개 있는 집. 하지만 해가 지면 호롱불을 켰다. 그 불빛이 창호지를 통해 은은하게 새어 나오던 기억이 아직도 이 집 구석구석에 배어 있다.

한 부부의 기억이 이 집에 가장 깊이 스며 있다. 아내는 늘 앞치마를 두르고 다녔다. 손님이 오면 앞치마에 손을 닦으며 나와서 맞았다. “어서 오세요, 어디서 오셨어요?” 그런 목소리가 아직도 들리는 것 같다. 부엌에서 밥 짓고 국 끓이고 반찬 만들던 소리들. 늘 무언가 끓고 썰고 다지던 소리들이 이 집의 기억이 되었다. 언제나 사람 냄새가 나던 그 따뜻함도 여기 그대로 있다.

아이들의 기억들은 마당 곳곳에 흩어져 있다. 뛰어다니며 놀던 기억들. 봄에 개나리와 진달래를 보며 좋아하던 기억, 여름 처마 밑에서 수박을 먹으며 빗소리를 듣던 기억. 나무 그늘에서 매미 소리 들으며 낮잠을 자던 기억, 가을에 감을 따서 먹으며 입 주변이 온통 주홍빛이 되던 기억, 겨울에 눈사람을 만들던 기억들이 철마다 돌아와 이 집을 찾는다. 아이들은 계절을 온몸으로 받아들였다.

하지만 행복한 시간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당연히. 가족을 위해 바삐 일하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 아직 일흔도 안 된 나이였다. 그래도 그다음 날도 밥을 지었다. 호롱불을 켰다. 삶은 계속되어야 했다. 형은 아버지의 자리를 이어받아 바삐 일했다.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손을 놓지 않았다. 호롱불은 아침이 되어 해가 뜨고서야 꺼지기 일쑤였다. 동생도 형을 도왔다. 서툴게 시작해서 점점 늘어가던 기억들이 있다.

그런데 형이 어느 해부터 기침을 하기 시작했다. 처음엔 감기인 줄 알았다. 그런데 그 기침이 몇 달이나 계속되었다. 병원에 갔더니 폐에 문제가 생겼다고 했다. 마흔일곱. 아직 젊은 나이였다. 그래도 그날 저녁에도 아궁이에 불을 지피고 호롱불을 켰다. 동생이 모든 것을 떠안았다. 하루아침에 형이 하던 일을 다 해야 했다. 그래도 밥은 지어야 했다.

세상일이 늘 순조롭지만은 않다는 것을 그들은 알고 있었다. 사업이 잘 되나 싶었는데 큰 사기를 당했다. 힘들게 이뤄온 것들이 하루아침에 사라져버렸다. 그래도 아침이 되면 일어났다. 저녁이 되면 불을 켰다. 외국 사람들이 와서 이 집을 빼앗으려 했다. 엄청난 돈을 가져가면서도 모자라다고 했다. 그래도 가족들은 한 상에 앉았다.

어려움이 생기면 머리를 맞대고 궁리하던 기억들이 있다. 이것저것 해보고 실패도 하고 성공도 하며 하나씩 늘려가던 기억들이 차례차례 쌓였다. 세월이 지나 젊은 세대가 새로운 이름을 걸고 새로운 일을 시작하던 기억도 여기 있다.

무엇보다 이 집에는 꺼지지 않던 불의 기억이 있다. 해가 지면 어김없이 켜지던 호롱불, 끊임없이 피어오르던 아궁이 온기의 기억이다. 아버지와 형이 세상을 떠나도, 돈이 사라져도, 남들이 빼앗으려 해도 그 불만은 꺼지지 않았다. 그 따뜻함이 모든 일의 뿌리가 되었다. 바깥에서 아무리 힘든 일을 해도 집에 오면 따뜻했다. 한 상에 둘러앉아 밥을 먹으며 하루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고, 내일 할 일을 의논하던 기억들이 여기에 있다.

그런 식으로 이 집은 기억의 전당이 되었다. 아픈 기억도, 슬픈 기억도, 기쁜 기억도 모두 이곳에서 살아간다. 산 좋고 물 좋은 이곳에서, 따뜻한 사람들의 기억들과 더불어서. 언제나 그래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그럴 것처럼. 기억이라는 것은 참 이상하다. 사라지는 것 같으면서도 어딘가에는 남아 있다. 이 집처럼.

소리의 기억


대지

모든 이야기도 시작점이 있기 마련이다. 근원. 대지는 그 은유에서 출발한다. 초월적이고 웅장한, 그러면서도 어딘가 낯설지만은 않은 따스함. 대지에 내린 씨앗이 싹을 돋고, 휘몰아치는 바람을 견디며 무럭무럭 자라 나무가 된다. 그렇게 어느덧 안식처가 되어 다른 생물의 터전이 되어준다. 태초의 집. 그 은유를 느릿하면서도 다양한 질감의 신시사이저 소리로 구현했다. 넉넉하면서도 단단한 베이스 위에 포근한 사운드가 유영하기도 하고, 구불구불한 덩굴처럼 제 몸을 꼬는 소리가 어딘가 틈새로 등장하기도 한다. 성장하는 나무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오브제 위에 이것저것 떨어뜨려 보고 그 소리들을 조합하고 변형했다. 실체가 없는 바람은 자기가 훑고 가는 잎새를 통해, 또 여기저기 외부에서 수음하러 다니다 불청객처럼 “훅” 하고 들어온 공기 소리를 이용해서 사운드스케이핑에 활용했다.

어머니

광활한 대지에 시간이 흘러 호롱 불이 켜진 집이 들어섰다. 만인의 어머니는 아니지만, 우리의 어머니. 한 가정의 어머니. 적어도 내 식구만큼은 어떻게든 배불리 먹고 웃을 수 있게 애쓰던 어머니. 그 감정은 따스한 백반처럼 담백하게 담아내려 했다. 호롱 불이 깜빡이듯이 선율도 깜빡깜빡. “이 반찬은 먹어봤니, 밥 많이 있으니 더 먹어” 언제나 반복되던 애정 어린 잔소리가 밥상머리에 머물던 일상. 그 일상을 표현하기 위해 호화로움이 아닌 단조롭고, 반복되는 멜로디를 만들었다. 들릴듯 말 듯 한 왁자지껄 가족끼리 떠드는 소리, 젓가락질 하는 소리, 부엌에서 사람이고 식기고 애쓰는 소리. 눈을 감으면 들릴 것만 같은데 깨고 나면 환영처럼 자취를 감추는 추억처럼, 이 악곡에서도 그런 추억의 소리가 어렴풋이 담겨있다. 자신의 오래된 추억에 귀를 기울이면 비로소 들릴 터이다.

기억

되돌아보면 삶이 찰나 같다고 하지만, 사진처럼 펼쳐놓으면 참으로 깊고, 소중하다. 뭐가 뭔지도 모르게 지나간 시절도 있고, 이걸 어떻게 버텨내나 하던 기억도 피식하며 바라보게 되는 것이 삶을 꿋꿋하게 걸어나간 이들의 훈장이자 특권이다. 세상 고민 하나도 없어 보이는 개구쟁이 철부지가 점점 부모의 주름을 하나씩 닮아가는 것. “기억”의 악곡은 그래서 경쾌한 이면에 어딘지 아린 기억이 한 줌 자리한다. 70년대 록을 오마주 하여 빈티지한 사운드와 함께 “내”가 삶을 일궈나가며 만난 수많은 이들과의 공생, 공유의 기억으로 확장된다. 뉴스를 콜라주 하듯이 샘플링하여 시대상과 선경이 SK가 되는 일련의 여정을 담았다.

형제

힘차고 담대하게 나아가던 이면에는 고독이, 감내해야 했던 숱한 시간이 있었다. 격동의 시간에 휩쓸려 살아남아야 했던 이들. 60년대 후반에서 70년대 요동치던 사회 속에서 분출되었던 사이키델릭 록의 형태로 이 같은 감정을 함축하고 은유하려 했다. 맨몸으로 부딪혀야 했던 시절처럼, 세련되고 유려한 현대의 다채로운 사운드가 아닌 단출하며 투박한 드럼, 베이스, 기타가 주인공이 되어 악곡을 끌고 나간다. 느슨한 듯 묵직하게, 서정적이면서 격정적인 연출로 장대한 이야기의 이면을 연주했다.

비상

궁극적인 물음은 결국 ‘어디로, 어떻게 나아가느냐’이다. 미래를 향해 겁 없이 발걸음을 내딛는 용기. 그 앞길에 귀가 멀어져라 울리는 풍악은 축복이자, 미처 내던지지 못한 두려움을 털고 나아가란 의미이기도 하다. 여러 국악기와 드럼, 베이스 두 현대 악기를 첨가하여 신구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퓨전’을 개척하길 기원했다.

사운드 디렉터
휴 키이스 Hugh Keice

집의 기억


Cocoon

코쿤은 복잡한 거리와 사회로부터 한 걸음 들어와 보호 받는다. 건물은 조개껍질 같은 쉘 이되어 주고, 그안에 들어와 보호받는 코쿤은 그안에서 일어날 많은 이야기와 우리의 상상이 펼쳐질 이음매 없는 연속성의 면을 제공한다.

SK 쉘 아래의 코쿤을 생각하며..
건축가
조병수